백일의 여행, 늘 있는 주체인 관조의 발견과..(2부) 아침의 통찰 : 느껴지는 것은 ‘내’가 아니다 혜량스님│ 제23차 백일학교 졸업발표 그 사건이 일어난 다음부터는 아침마다
통찰이 일어났습니다. 새벽에 저절로 눈
이 떠지더군요. 내가 뜨려는 의도를 안 냈
는데도 눈이 떠졌어요. 눈은 그냥 떠지고
느낌들이 느껴졌어요. 그냥 몸으로 느껴
졌어요. 몸이 그냥 몸으로 느껴지고 어떤
통증이나 아픔 같은 것도 느껴지는데, 거
기다가 이름을 붙이지 않고 그 느낌이 있을 때 그냥 느낌으로 느껴졌
어요. 제가 자가면역질환이잖아요. 엄청 아프거든요. 아플 때 진짜 아
픈데, 거기에다가 이름을 붙이지 않고 그 느낌을 그냥 느끼는 거예요.
그러면 느낌은 느낌대로 있고, 느낌을 아는 이 마음은 이것대로 있더
라는 것입니다. 아픔과 아프지 않음이 동시에 있는 거예요. 그래서 아
프지만 조금 있으면 그 아픔이 사라지고, 아픔도 오래 안 가더라고요.
느낌은 오래 가지 않았어요.
그러다보니까 내가 아프다는 것을 붙잡지 않게 되었습니다. 몸은 아
파도 마음이 그 아픔에 붙잡히거나 취착하는 구조가 아니니까 아픔이
일어났다가 금방 사라지고 그 다음날 비슷한 시각이 되면 그 느낌이
똑같이 일어나는 거예요. 그런 식으로 이렇게 아픔이 느껴지고 몸이
느껴진 거죠. 그러면서 ‘아, 이건 느낌이지. 느껴진다는 것은 내가**이 글은 지난 7월부터 100일간 함양연수원에서 백일학교를 마친 혜량스님이 100일 간의 생활과 거기서 얻은 통찰에 대해 소개한 졸업발표를 녹취한 것임을 알려드립니다(편집자 주). 061백일의(25-2).pdf 백일의 여행, 늘 있는 주체인 관조의 발견과..(1부)
백일의 여행, 늘 있는 주체인 관조의 발견과..(1부)
백일의 여행, 늘 있는 주체인 관조의 발견과 그것을 넘어가기(1부) 혜량스님│ 제23차 백일학교 졸업발표인생의 불만족과 결핍감으로 외적대상을 추구하던 소녀가 이번 생은 없는 것으로 치고 진리를 추구하겠다고 온 몸과 마음으로 불교에 뛰어들었습니다.대행스님을 통해 외적추구가 내적추구로 바뀌면서 잠시 기쁨을 맛보았으나 근본적 해결을 보지 못하고 늘 진리에 대한 갈증 속에 있어왔습니다. 그 과정에서 만난 초기불교, 나냐난다 스님, Mutual Causality in Buddhism and General System Theory, 이중표 교수 등 그외 전환점이 되어준 몇 가지 사실과 사람들을 통해 깊어지지만 그럼에도 여전한 갈증을 느끼던 스님.그런 스님이, 백일동안의 탐구를 통해 느끼고 경험한 불교와 깨어있기 이론의 체계적체험, 그 과정 속에서 몸으로 경험한 ‘늘 보는 주체’의 발견, 건드릴 수 없는 그것과 그것을 넘어설 준비 상태에 대해 이야기합니다.**이 글은 지난 7월부터 100일간 함양연수원에서 백일학교를 마친 혜량스님이 100일 간의 생활과 거기서 얻은 통찰에 대해 소개한 졸업발표를 녹취한 것임을 알려드립니다(편집자 주). 054백일의(1부)(25-1).pdf 늘 있는 주체인 관조의 발견과 그것을 넘어가기(2부)
오직 봄만이 있다
두레박 님은 SK에너지에 다니며 부족함 없는 일상을 살고 있지만 늘 진리에 목말라 하였습니다. 미내사를 알게 된 것은 5, 6년 정도 되었는데 그 당시 깨어있기 프로그램은 크게 와 닿지 않았다고 합니다. 그러나 최근 어떤 탈출구가 필요하다는 느낌이 강력하게 들어왔고, 깨어있기 기초과정에 참가하게 되었습니다. 그는 이렇게 얘기합니다. “기초과정 때 에고가 잠깐 사라지는 경험을 했습니다. 그리고 심화과정 가서는 선생님께 제가 ‘꼭지가 떨어졌습니다’라는 표현했던 그런 체험을 하게 되었습니다. 심화과정 마지막 날 아침, 선생님이 ‘눈은 모든 것을 보지만 눈 자신은 보지 못한다’는 화두로 탐구하셨다는 것을 상기하고 그 화두를 잡고 산책하면서, 눈은 모든 것을 보지만 눈 뒤에 뭐가 있지? 라고 하는데 세계가 쫙 펼쳐지면서 내가 사라지는 거예요. 내가 사라지니까 그냥 그대로 ‘봄’만이 있게 된 것입니다. 너무 감사드립니다. 사실 심화과정 갈 때는 어떤 기대 없이 그냥 갔고 거기서 그 자리까지 가리라고는 생각 못했습니다. 마음의 한 점 의혹이 탁 떨어지니까 이것이 너무 놀랍고 감사드립니다.” durebak.pdf (전체읽기)
어리석음도 다양한 차원의 것들이 있겠지만 근본 어리석음은 독립된 존재물이 있다고 생각하는 실체시요, 독립된 실체란 본래 없다는 생각, 곧 연기시(연기라고 생각함), 무아시無我視(실아, 자아, 실체란 본래 없다고 생각함), 공시空視(공하여 없다고 생각함) 등이 근본적인 어리석음을 척결하는 근본적인 깨달음이다. 우리가 무언가에 집착한다는 것은 항상 무언가를 다른 것과 독립된 실체로 한정시켜 놓고 그 무언가를 향해 [있다-좋다-싶다-썅] 하는 것을 의미한다. 연기이기(하기) 때문에 구획의 선을 그어 독립된 실체를 상정할 수 없다는 연기무아緣起無我의 법리 이해가 영성 문화사에 얼마나 획기적인 일인가를 아는 것 자체가 또한 중대한 깨달음일 것이다.(저자 주).깨달음의 핵심을 사성제四聖諦(苦集滅道) 관점에서 살펴볼까 한다. 불교인이라면 사성제는 반드시 명상해서 이해해야 한다. 사성제론은고통의 소멸, 곧, 고멸苦滅론이다. 고苦의 구조를 잘 이해하면 그 과정에서 핵심 깨달음이 밝혀진다. 고의 직접적인 원인은 집착이요, 집착의 원인은 실체의식, 곧 실체시이다. 이 실체시(독립된 아이템이 존재한다는 생각)가 근본적인 어리석음[癡]이라는 것을 확연하게 이해하는 일이 무엇보다 중요하다.제2의 붓다 마명馬鳴 대사는 《대승기신론大乘起信論》에서 십이연기의 첫 단계인 무명無明을 정의하여 주객 의식主客意識이라 하셨다. <‘나’가 있다, 대상이 있다는 생각>, 곧 실체 의식, 실아實我 의식, 자아自我 의식이 주객 의식이요, 무명이요, 근본적인 번뇌이다. 생각해 볼수록 적실한 갈파이다. 무명과 치癡는 같은 뜻의 다른 이름일 뿐이다. 주객 의식이 치이다. 잘 사유(명상)해 보면, 열 개, 백 개의 아이템들이 뚝뚝 독립된 개체, 실체實體로 떨어져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전체의 것들이 서로서로 인因과 연緣으로 엮어져 연기하는 한 유기체로 존재한다는 것을 깨닫게 되는 것이다. 곧, 어리석음도 다양한 차원의 것들이 있겠지만 근본 어리석음은 독립된 존재물이 있다고 생각하는 실체시요, 독립된 실체란 본래 없다는 생각, 곧 연기시(연기라고 생각함), 무아시無我視(실아, 자아, 실체란 본래 없다고 생각함), 공시空視(공하여 없다고 생각함) 등이 근본적인 어리석음을 척결하는 근본적인 깨달음이다.우리가 무언가에 집착한다는 것은 항상 무언가를 다른 것과 독립된 실체로 한정시켜 놓고 그 무언가를 향해 [있다-좋다-싶다-썅] 하는 것을 의미한다. 연기이기(하기) 때문에 구획의 선을 그어 독립된 실체를 상정할 수 없다는 연기무아緣起無我의 법리 이해가 영성 문화사에 얼마나 획기적인 일인가를아는 것 자체가 또한 중대한 깨달음일 것이다. 또한 연기이므로 동체同體라는 연기동체緣起同體의 법리를 이해한다는 것이 인류 영성 문화사에 얼마나 획기적인 일인가를 아는 것 자체가 또한 중대한 깨달음일 것이다. 바로 연기는 상구보리하화중생上求菩提下化衆生, 자리이타自利利他, 자도타도自度他度 사상의 초석이다. 연기緣起-무아無我-해탈解脫과 연기緣起-동체同體-대비大悲는 불교의 핵심 사상중 핵심 사상이다.핵심 번뇌는 실체시요, 핵심 깨달음은 연기시라 했다. 아마 70억의 사람, 거의 모두가 [‘나’가 있다. ‘너’가 있다. ‘그것’이 있다.]고 생각하며 살 것이다. 99.999%의 사람이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라고 여기는 ‘나’, ‘너’, ‘그것’을 있다고 생각하는 자가 정상이겠는가? 없다고 생각하는 자가 정상이겠는가? 있다고 생각하면 핵심 번뇌에 젖어 있고, 없다고 생각하면 핵심 깨달음을 얻은 것이라고 했다. 현기증이 날 정도로 아연해지는 자리이다. 부처는, 마명은, 용수는, 세친은, 아니 우리의 소의경전所依經典인 금강경은, 만 명의 중생 중 한 명도 따라잡지 못할 길을 제시한다. 왜냐하면 궁극의 길이기 때문이다. 완벽한 구원의 길이기 때문이다....more 미내사소식 2021-03.pdf
2021年 1月: 진리를 향한 '직접적인 길'
이번 호부터 아트마난다 크리슈나 메논의 아드바이타 베단타에 대한 가르침과 그에 대한 아난다 우드의 해설을 연재합니다. 이 해설은 아트마난다의 제자인 아난다 우드가 2003년 11월부터 12월까지 이끌었던 Advaitin Egroup 토론의 녹취록에서 발췌되었습니다(편집자 주) .‘직접적인’ 방법에서는 스승이 제자가 가진 세계관과 개성을 토대로 깊이 탐구하도록 곧바로 이끕니다. 제자에게 이 작업은 자신의 자아감과 세계관을 결정하는 습관적 신념들에 깊은 의심을 품고 그것을 뒤흔드는 질문을 던지며 나아가는, 진리에의 진심어린 관심이 관건입니다. 여기에는 독자적인 자세가 요구됩니다. 곧이곧대로 믿지 않고 혼자 힘으로 질문을 던지고 찾아내야 하는 것이지요(저자 주).스리 아트마난다가 《아트마 다르샨Atma Darshan》 서문에서 말합니다.“사상의 두 계열, 즉 개별을 보편 아래 두는 것과 보편을 개별 아래 두는 것 중에 여기서 채택한 것은 후자이다.” 그래서 스리 아트마난다가 깨달음에 이르는 두 가지 방식이라 부른 ‘우주론적인’ 방법과 ‘직접적인’ 방법이 구분됩니다. ‘우주론적인’ 방법에서는 ‘개개인’ 혹은 ‘개개의 영혼jiva’을 모두를 아우르는 우주의 불완전한 일부로 봅니다. 따라서 이 방법은 ‘개별을 보편 아래 두는’ 방식이라 말합니다. 여기에서는 ‘이슈와라Ishvara’라고 하는 전능한 ‘최고신’이 다스리는, 혹은 ‘브라만brahman’이라는 전지적全知的 실재를 표현하는 보편적 작용에 대해 생각을 확장하라고 합니다. ‘브라만’이란 단어는 문자 그대로, ‘확장된’ 또는 ‘위대한’이라는 뜻입니다. 우리가 가진 육체적 정신적 시야의 모든 한계를 넘어 생각이 확장될 때 브라만은 실현됩니다. 그런 확장 상태는 수행자의 품성이 에고의 치우침으로부터 정화되도록 처방된 여러 수련을 거쳐 도달할 수 있습니다. 특히 자기중심성향을 약하게 하는 도덕적 수행이 있고, 숭배 신에 대한 순종심을 길러주는 종교적 수행이 있는가 하면, 일상적인 제약들이 녹아들어 강렬하게 모든 것과 하나가 되는 특별한 삼매 상태로 빠져들게 하는 명상 수행이 있습니다. 이처럼 주어진 수행을 거쳐 수행자가 치우침을 확연히 떨치게 되면 세상을 훨씬 넓고 더 깊이 이해할 수 있습니다. 그러면 스승은 수행자가 세상에 대해 엄청나게 넓어진 이해를 바탕으로 비이원의 진리를 들여다보는 탐구 작업에 들어가도록 준비시킵니다. 이 우주론적 길에는 믿음과 순종이라는 특유의 자세가 있는데, 이는 마음을 확장하고 품성을 정화하는 수행을 처방한 그 전통을 따르는 것입니다. 그런 이유로 이 길은 순종하는 믿음을 바탕으로 구성된 전통 사회에서 중요하게 여겨졌습니다.한편 ‘직접적인’ 방법에서는 스승이 제자가 가진 세계관과 개성을 토대로 깊이 탐구하도록 곧바로 이끕니다. 제자에게 이 작업은 자신의 자아감과 세계관을 결정하는 습관적 신념들에 깊은 의심을 품고 그것을 뒤흔드는 질문을 던지며 나아가는, 진리에의 진심어린 관심이 관건입니다. 여기에는 독자적인 자세가 요구됩니다. 곧이곧대로 믿지 않고 혼자 힘으로 질문을 던지고 찾아내야 하는 것이지요.전통 사회에서는 그런 독자적인 자세가 공공연하게 억눌렸습니다. 행여 사회 질서를 유지하는 데 필요한 순종적 믿음이 흔들리지 않을까 하는 두려움 때문입니다. 그래서 이 직접적인 방법을 어떻게든 숨겨두고 일반 대중이 알아채지 못하게 하는 경향이 있었습니다. 의심 어린 질문을 던지는 우파니샤드가 한두 세기 전에 공개될 때까지 감춰져 있었던 것처럼 말이지요. 현대에서 우리는 다른 형태의 사회를 발전시켰습니다. 교육은 보다 널리 확대되고 훨씬 더 이른 단계의 교육에서부터 독자적으로 질문을 던지는 일이 장려됩니다. 그러므로 ‘직접적인 길direct path’ 혹은 ‘비차라 마르가vicara marga’는 라마나 마하리시Ramana Maharshi와 같은 분들을 통해 당연히 더 많이 알려졌어야 합니다...more 미내사소식 2021-01.pdf
2020年 11月 : 지구적 어두움으로부터 새로움의 탄생
전 지구적인 재앙에 관심을 갖고, 감정을 그대로 느끼며 괴로워하고 혼란에 빠지는 과정은 정신적 성숙을 위해 반드시 필요합니다. 신비주의자들은 ‘영혼의 어두운 밤’을 이야기합니다. 이들은 늘 확신하던 바를 용감하게 잊고, 오래도록 위안을 느끼며 순응하던 습관이 사라지도록 내버려둡니다. 아직 알지 못하는 상황을 맨몸으로 견디는 것입니다. 정신적으로 감당할 수 없는 과정들이 자신을 천천히 지나쳐 가도록 놓아둡니다. 그렇게 어둠에서부터 새로움이 탄생합니다(저자 주)....신경망과 가이아 이론의 이미지는 모두 시스템을 통찰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를 통해 마음이 자연과 분리되어 있지 않고, 오히려 자연에 ‘속해있음’을 이해할 수 있습 다 . 시스템 철학자 에르빈 라슬로 는 어떤 열린계든(아무리 단순할지라도) 그 내부에서 마음은 주관적 차원으로 자연 세계에 스며있다고 했습니다. 인간의 두뇌는 뉴런(신경세포) 천억 개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우리가 단세포 생물의 ‘주관subjectivity’을 상상하기란 어렵지만, 그가 지적한 대로 단세포 생물의 주관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볼 근거나 논리는 없습니다.천억 개에 달하는 뉴런이 복잡한 뇌 연결망들을 형성하고(물리적 사건), 이 연결망들이 인간의 심리적 사건과 밀접하게 관련이 있다는n점 을 주목한다면 , 우리는 인간의 심리적 사건 을 더 작은 시스템(원자나 분자 등)의 산물로 여기지 않도록 해야 한다. 더 작은 시스템의 심리적 사건은 인간이 ‘느끼는’ 것과 완전히 다르겠지만, 그럼에도 심리적 사건으로 볼 수 있다(예컨대 감각의 종류). 이는 물리적 과정과 관계가 깊지만 둘은 서로 다르다. 그레고리 베이트슨은 또 다른 방향을 취하며 자연에 마음이 존재함 을 단언했습니다 . 마음이 시스템의 내면성i teriority 과 연관이 있다고 생각하는 대신 , 생명시스템들을 서로 연결하고 이끌어주는 ‘정보의 순환’에 있다고 보았습니다.정보를 처리하여 자기교정하는 전체 단위가 하나의 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의 경계는 몸의 경계, 또 흔히들 ‘자아self’ 혹은 ‘의식’이라 칭하는 것의 경계와 판이하게 다르다. 마음은 여느 열린계와 마찬가지로 자기조직화self-organizing합니다. 외부에서 마음에 영향을 줄 수는 있지만 마음을 통제할 수는 없습니다. 왜냐하면 외부 압력은 한 시스템의 과거 경험에 따른 내부 코드와 교류할 때에만 작용하기 때문입니다. 시스템이 복잡해지면 바깥 환경의 영향을 덜 받으며 자율성이 높아집니다. 인간을 비롯해 뇌가 큰 포유류는 정신에 뚜렷한 특징이 있습니다. 날 때부터 자기성찰의식self-reflexive consciousness을 지니는 것입니다. 이 의식은 시스템 내부의 복잡성이 증가하고 선택지가 매우 다양해져서 더 이상 시행착오만으로 시스템이 생존할 수 없을 때 필연적으로 생겨난 것입니다. 이제는 여러 행동방침을 따져보기 위해 의식 수준이 한 단계 더 진화해야 했습니다. 다시 말해 ....more 미내사소식지2020_11.pdf
정원의 봄 우리는 내 안의 ‘아는 자’가 삶의 주인이 된다‘아는 자’의 희로애락에 끌려다닌다.‘아는 자’를 가까이 두지마라.그렇지 않으면 ‘내 말이 맞다’라는 것을증명하기 위해 평생을 바친다.‘아는 자’를 뒤로하고따뜻한 바람과 찬 바람이 만나는 순간을느껴보라.- 超顯 - · 권두언: 정원의 봄 … -超顯 -· 아소님 인터뷰 마음의 ‘상태’를 넘어 본성으로 4· 무연 님과의 대담 '깨어있기'가 깨어있게 한다 17· 진심직설 7회-월인越因· 홀로스 공동체 소식· 강의·도서 구입 안내 오인회소식지 113호 2021-02.pdf
사랑이란 무엇인가? - 오인회 소식지 112호
사랑이란 무엇인가? 사랑이란?허용하면 드러나는 것들이사랑이다.- 超顯 - · 권두언: 사랑이란 무엇인가? … -超顯 -· 아소님 인터뷰 마음의 ‘상태’를 넘어 본성으로 3· 무연 님과의 대담 '깨어있기'가 깨어있게 한다 16· 진심직설 6회-월인越因· 홀로스 공동체 소식· 강의·도서 구입 안내 오인회소식지 112호 2021-01.pdf
진아의 삶 - 오인회 소식지 111호
진아의 삶 살면서 꼭 이루어야 할 일은 없지만하고 있는 일은 있다- 超顯 - · 권두언: 진아의 삶 … -超顯 -· 아소님 인터뷰 마음의 ‘상태’를 넘어 본성으로 2· 무연 님과의 대담 '깨어있기'가 깨어있게 한다 15· 진심직설 5회-월인越因· 홀로스 공동체 소식· 강의·도서 구입 안내 오인회소식지 111호 2020-12.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