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9호] 우리가 보는 것은 우리가 경험할 수 있는 오감의 한계속 사물 - ‘깨어있기’가 깨어있게 한다(4부)
| 무연 | 오인회 편집부 인터뷰 |이번호부터는 오인회에 참여하였던 무연 님과의 대담을 위주로 오인회에서 진행되는 작업을 소개합니다. 감지에서 감각, ‘나’라는 느낌에까지 이르러 점차 마음에서 일어나는 모든 것들을 하나의 ‘마음속 현상’으로 보는 과정을 세세히 담았습니다. 관심있게 봐주세요.무연 님은 ‘마음이란 무엇인가’를 탐구하면서, 생각이 어떤 과정으로 일어나는지 궁금했습니다. 우연히 《깨어있기》 책을 만나게 되었고, 책 속의 “우리가 보고 있는 것은 내 마음의 상”이라는 문구가 가슴에 와 닿았다 합니다. 그후 깨어있기 프로그램과 오인회 모임에 참가하면서, 내 마음의 상이 내면에서 언어로 나타난 것이 생각이고, 외부의 움직임으로 표출된 것이 행동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이것을 자각하는 것도 자신을 자유롭게 할 수 있는 길 중에 하나라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지금은 ‘깨어있기’란 단어가 사람을 깨어있게 만드는 힘이 있다는 것을 느끼면서 지내고 있습니다(편집자주). -->...눈은 사물을 향하고 그 포커스도 맞추었지만 주의를 사물에 보내지 않는 주의제로나 전체주의로만 가 있어도, 눈의 초점이 달라진 것도아닌데 마음으로 ‘흐릿하게 보인다’는 현상이 일어납니다. 물리적 눈의 포커스는 그 사물에 가 있어도 그렇다는 것입니다. 이것은 바로 마음속에 쌓인 경험적 정보information를 외부로 투사하지 않아 흐릿하게 보이는 것입니다. 다르게 말하면 평시에 우리는 그 경험적 정보를 주의에 실어서 외부 사물에 투사해 보고 있다는 의미이기도 합니다. 이런 것을 자꾸 연습해보아야 합니다. 그렇게 되면 이제 눈에 보이는 것, 익숙하게 안다고 여겨지는 것이 하나의 느낌이라는 것이 와 닿게 될 것입니다. 그때 ‘세상은 마야maya다.’라는 말이 와 닿습니다. 환상이라는 말입니다. 왜 마야maya냐 하면, 우리가 보는 것은 우리가 경험할 수 있는 오감의 한계를 가지고 접촉하고 있는 사물이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눈보다 더 정밀한 감각기관이 우리에게 없기 때문에 눈에 보이는 것이 ‘사실’처럼 보이지만 엄밀하게 말하면 눈에 보이는 ‘느낌’인 것입니다. 왜냐하면 우리 눈에 보이는 매끄러운 유리잔의 표면이 바이러스 에게는 구멍 뚫린 계곡처럼 느껴질 것이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눈에 보이는 것이 느낌이라는 것이 철저하게 와 닿기 시작하면,....more 149호_146무연4(25_5).pdf
아침의 통찰 : 느껴지는 것은 ‘내’가 아니다(백일여행 2부)
백일의 여행, 늘 있는 주체인 관조의 발견과..(2부) 아침의 통찰 : 느껴지는 것은 ‘내’가 아니다 혜량스님│ 제23차 백일학교 졸업발표 그 사건이 일어난 다음부터는 아침마다
통찰이 일어났습니다. 새벽에 저절로 눈
이 떠지더군요. 내가 뜨려는 의도를 안 냈
는데도 눈이 떠졌어요. 눈은 그냥 떠지고
느낌들이 느껴졌어요. 그냥 몸으로 느껴
졌어요. 몸이 그냥 몸으로 느껴지고 어떤
통증이나 아픔 같은 것도 느껴지는데, 거
기다가 이름을 붙이지 않고 그 느낌이 있을 때 그냥 느낌으로 느껴졌
어요. 제가 자가면역질환이잖아요. 엄청 아프거든요. 아플 때 진짜 아
픈데, 거기에다가 이름을 붙이지 않고 그 느낌을 그냥 느끼는 거예요.
그러면 느낌은 느낌대로 있고, 느낌을 아는 이 마음은 이것대로 있더
라는 것입니다. 아픔과 아프지 않음이 동시에 있는 거예요. 그래서 아
프지만 조금 있으면 그 아픔이 사라지고, 아픔도 오래 안 가더라고요.
느낌은 오래 가지 않았어요.
그러다보니까 내가 아프다는 것을 붙잡지 않게 되었습니다. 몸은 아
파도 마음이 그 아픔에 붙잡히거나 취착하는 구조가 아니니까 아픔이
일어났다가 금방 사라지고 그 다음날 비슷한 시각이 되면 그 느낌이
똑같이 일어나는 거예요. 그런 식으로 이렇게 아픔이 느껴지고 몸이
느껴진 거죠. 그러면서 ‘아, 이건 느낌이지. 느껴진다는 것은 내가**이 글은 지난 7월부터 100일간 함양연수원에서 백일학교를 마친 혜량스님이 100일 간의 생활과 거기서 얻은 통찰에 대해 소개한 졸업발표를 녹취한 것임을 알려드립니다(편집자 주). 061백일의(25-2).pdf 백일의 여행, 늘 있는 주체인 관조의 발견과..(1부)** 백일학교 신청하기
백일의 여행, 늘 있는 주체인 관조의 발견과..(1부)
백일의 여행, 늘 있는 주체인 관조의 발견과 그것을 넘어가기(1부) 혜량스님│ 제23차 백일학교 졸업발표인생의 불만족과 결핍감으로 외적대상을 추구하던 소녀가 이번 생은 없는 것으로 치고 진리를 추구하겠다고 온 몸과 마음으로 불교에 뛰어들었습니다.대행스님을 통해 외적추구가 내적추구로 바뀌면서 잠시 기쁨을 맛보았으나 근본적 해결을 보지 못하고 늘 진리에 대한 갈증 속에 있어왔습니다. 그 과정에서 만난 초기불교, 나냐난다 스님, Mutual Causality in Buddhism and General System Theory, 이중표 교수 등 그외 전환점이 되어준 몇 가지 사실과 사람들을 통해 깊어지지만 그럼에도 여전한 갈증을 느끼던 스님.그런 스님이, 백일동안의 탐구를 통해 느끼고 경험한 불교와 깨어있기 이론의 체계적체험, 그 과정 속에서 몸으로 경험한 ‘늘 보는 주체’의 발견, 건드릴 수 없는 그것과 그것을 넘어설 준비 상태에 대해 이야기합니다.**이 글은 지난 7월부터 100일간 함양연수원에서 백일학교를 마친 혜량스님이 100일 간의 생활과 거기서 얻은 통찰에 대해 소개한 졸업발표를 녹취한 것임을 알려드립니다(편집자 주). 054백일의(1부)(25-1).pdf 늘 있는 주체인 관조의 발견과 그것을 넘어가기(2부)** 백일학교 신청하기
우리 뇌에는 두 가지 시각 체계가 있다. 무엇경로는 과거 경험 내용과의 상관관계, 어디경로는 내 몸과의 위치적 상관관계이다. 무엇 경로와 어디 경로는 보완적 역할을 한다. 예컨대 어디 시각 경로를 무력화하면, 그 사람은 어떤 물체를 바라볼 때 그 물체가 무엇인지는 알지만 그 물체에 다가가지는 못한다. 예를 들면, 자신이 컵을 바라보고 있다는 사실은 알지만, 기묘하게도 그 컵이 어디에 있는지는 말하지 못한다. 이번에는 거꾸로 무엇 시각 경로를 무력화하면, 그 사람은 그 물체에 다가가 손을 뻗어 그것을 잡을 수 있다. 그 물체가 어디에 있는지는 아는데, 그것이 무엇인지는 알지 못한다. 그리고 생각의 움직임 역시 기준틀의 적절한 위치와 내용들 사이를 움직이는 것과 같다. (저자 주)우리 뇌에는 두 가지 시각 체계가 있다. 눈에서 신피질까지 시신경을 따라가 보면, 그것이 무엇 시각 경로와 어디 시각 경로라는 두 가지 시각 체계로 연결되는 것을 볼 수 있다. 무엇 경로는 뇌 뒤쪽에서 시작해 양옆으로 빙 돌아가는 일련의 피질 영역들로 이루어져 있다. 어디 경로는 마찬가지로 뇌 뒤쪽에서 시작하지만 위쪽으로 올라가는 일련의 피질 영역들로 이루어져 있다. 무엇 시각 체계와 어디 시각 체계가 발견된 지는 50년이 넘었다. 몇 년이 지난 뒤 과학자들은 다른 감각에도 이와 비슷한 경로들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시각뿐만 아니라 촉각과 청각도 무엇 경로와 어디 경로를 담당하는 구역이 있다. 무엇 경로와 어디 경로는 보완적 역할을 한다. 예컨대 어디 시각 경로를 무력화하면, 그 사람은 어떤 물체를 바라볼 때 그 물체가 무엇인지는 알지만 그 물체에 다가가지는 못한다. 예를 들면, 자신이 컵을 바라보고 있다는 사실은 알지만, 기묘하게도 그 컵이 어디에 있는지는 말하지 못한다. 이번에는 거꾸로 무엇 시각 경로를 무력화하면, 그 사람은 그 물체에 다가가 손을 뻗어 그것을 잡을 수 있다. 그 물체가 어디에 있는지는 아는데, 그것이 무엇인지는 알지 못한다. (적어도 시각적으로는 알지 못한다. 손으로 물체를 만져 촉감으로 그 물체가 무엇인지 확인할 수는 있다.)무엇 구역과 어디 구역에 있는 피질 기둥들은 비슷하게 생겼다. 세포의 종류와 층들과 회로도 비슷하다. 그런데 왜 서로 다르게 행동할까? 무엇 구역과 어디 구역에 있는 기둥은 어떤 차이가 있길래 서로 다른 역할을 할까? 두 종류의 기둥은 작동 방식에 어떤 차이가 있을 것이라고 가정하고 싶은 유혹을 느끼기 쉽다. 어쩌면 어디 기둥은 다른 종류의 신경세포가 있거나 층들 사이에 다른 연결이 있을지도 모른다. 무엇 기둥과 어디 기둥이 비슷하다는 점은 인정하더라도, 아직 발견되지 않은 물리적 차이가 있을지 모른다고 주장할 수도 있다. 만약 이런 입장을 견지한다면, 여러분은 마운트캐슬의 제안을 거부하는 셈이다. 하지만 마운트캐슬의 전제를 버릴 필요는 없다. 우리는 왜일부 기둥은 무엇 기둥이고 일부 기둥은 어디 기둥인지 단순한 설명을 제시했다. 무엇 기둥의 피질 격자세포는 대상에 기준틀을 첨부한다. 어디 기둥의 피질 격자세포는 우리 몸에 기준틀을 첨부한다. 만약 어디 시각 기둥이 말을 할 수 있다면,....more 미내사소식지 2023-09c.pdf
2023年 7月: 바라봄을 통해 현존하기
그리스도교 영성 전통은 “눈의 감독”이라고 알려진 수행을 통해 보는 훈련을 해왔다. 몇몇 수도 공동체는 아직도 이것을 강조한다. 하지만 이 수행이 왜곡될 때도 있다. 죄지을 것이 두려워 유혹적인 것은 어떤 것도 보지 말라고 하는 것이다. 이 수행의 본래 취지는 보는 것을 금하는 것이 아니라, 보아야 할 것(즉 실제) 누가, 어떻게 보아야 하는지를 수련하는 것이다. (저자 주)...“눈 뒤에서 보는 이는 누구인가?” 우파니샤드에 나오는 이 말은 앞장에서 인용한 “귀 뒤에서 듣는 이는 누구인가?”라는 구절의 나머지 문장이다. 예수님도 실재를 보는 눈이 필요하다고 말씀하셨다. "너희의 눈은 지금 보고 있으니 복이 있다." (마 13:16) 보아야 할 것(실제) 보는 눈은 복이 있다는 말이다. 그리스도교 영성 전통은 “눈의 감독”이라고 알려진 수행을 통해 보는 훈련을 해왔다. 몇몇 수도 공동체는 아직도 이것을 강조한다. 하지만 이 수행이 왜곡될 때도 있다. 죄지을 것이 두려워 유혹적인 것은 어떤 것도 보지 말라고 하는 것이다. 이 수행의 본래 취지는 보는 것을 금하는 것이 아니라, 보아야 할 것(즉 실제) 누가, 어떻게 보아야 하는지를 수련하는 것이다. 바라봄에는 순수한 바라봄, 분리된 바라봄, 참여적 바라봄 세 가지가있다.• 순수한 바라봄Innocent Seeing. 듣기 위해 귀를 열 때처럼 보기 위해 눈을 열면, 정신이 본 것을 분리하여(대상화하여) 해석하기 이전에 이미 눈에 들어온 무언가가 있다. 이 순간 우리는 순수한 마음으로 바라봄 안에 단순히 현존한다. 어린이들이 그렇다. 예수님은 어린이들의 현존 상태를 이렇게 말씀하신다. “누구든지 어린아이와 같이 하나님 나라를 받아들이지 않는 사람은 거기에 들어가지 못할 것이다.”(눅 18:17) 어린이들은 어른들에 비해 이러한 순수한 “첫 시선”에 훨씬 오래 머무른다. 마태는 이 말씀에 한 마디를 덧붙였다. “누구든지 어린아이와 같이 자기를 낮추는 사람은...” (마 18:4) 여기서 “낮추는”에 사용된 히브리어는 잠언 9장 4절에서 “단순한”이나 “무지한”에 쓰인 단어와 같다. “단순한 사람은 누구나 이리로 발길을 돌려라.”(잠 9:4) 어린이가 자기를 낮춘다는 말은 젠체하지 않고 단순하다는 뜻이다. 자의식이 없다는 의미에서 무지하기도 하다.• 분리된 바라봄Split Seeing. 정신이 첫 시선의 일체감을 벗어나 본 것을 해석하려고 할 때 순수한 바라봄의 광채는 사라진다. 이로부터....more 미내사소식지 2023-07.pdf
2023年 5月: 아원자 입자들이 시공간을 가져온다
우리는 시간이 창조에 끼어들었을 때의 모습을 시각화할 수 있다. 보통 책처럼 편평하지만 펼치면 집, 동물, 정교한 조경, 그리고 심지어 그림이 튀어나오는 책을 생각해보라. 양자 수준에서 보면 창조도 이와 같다. 평탄함이 있었는데 갑자기 시공간에 물체들이 나타난다. 모든 것이 한꺼번에 튀어나온다. 따라서 입자들의 독립적 행동은 실제의 참모습을 보여주지 않는다. 나무, 구름, 식물, 혹은 인체는 (집을 짓기 위해 벽돌을 쌓는 식으로) 아원자 입자, 원자, 분자를 쌓아올려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다. 아원자 입자들이 시공간을 가져오는 것이다. (저자 주)...소위 막다른 골목은 실제로 중요한 단서를 드러냈다. 시간은 뇌 속의 신경세포가 발화할 때마다 존재하게 된다. 시간의 창조는 계속된다. 살아 있는 한, 사람은 시간을 ‘창조’하고 있는 것이며 시간은 결코 바닥나지 않는다. (누군가가 “난 시간이 없어”라고 말하는 것은 실제로는 마감을 못 지켰다는 걸 의미한다.) 그러므로 시간의 기원을 찾아 빅뱅 이전으로 돌아갈 필요는 없다. 시간이 어디에서 왔는지 묻는 것은 실제로는 우주에 관한 것이 아니라, 지금 여기 우리 경험에 관한 것이기 때문이다. 다른 시간은 존재하지 않는다. 시간의 미스터리를 해결하면, 인간이 시간의 창조자인지 아니면 자신도 모르는 시간의 희생자인지, 즉 뇌 활동의 노리개인지를 알 수 있을 것이다. 다른 선택은 없는 것으로 보인다. 시간은 뇌에 달려 있고, 뇌는 시간에 달려 있다면, 우리는 모든 사람이 우주에 참여하는 가장 중요한 방식 중 하나에 대해서 말하고 있는 것이다. 상대성이론 전에는 모든 사람이 같은 시간 경험을 공유한다는 믿음이 일종의 우주적 민주주의를 형성다. 우리는 시간이 작동하는 방식에서 모두 평등했다. 이 상황은, 갈릴레이가 상식적인 현실을 강화한 몇 가지 중요한 관찰을 한 덕분에 (이탈리아의 위대한 르네상스 과학자 갈릴레오 갈릴레이를 기려서) ‘ 갈릴레이식 민주주의’라고 부를 수 있다. 예를 들어, 당신이 자동차를 운전하고 있는데, 당신의 차가 지나치는 순간 창밖의 누군가가 같은 방향으로 공을 던진다고 하자. 우리는 그 공의 속도를 확실하게 계산할 수 있고 그 결과는 항상 같을 것이다. 기차가 시속 100킬로미터로 움직이는데 승객 중 메이저리그 투수가 있다고 하자. 이 사람이 기차의 진행 방향으로 시속 150킬로미터의 속도로 공을 던지면, 철로 바깥에 있는 사람(정지 관성계)에게 보이는 이공의 속도는 기차 속도에 공 속도를 더하여 얻게 되는 시속 250킬로미터다. 이 갈릴레이식 민주주의는 고정된 지점에서 관찰하는 한 적합하다. 기차 안의 투수는....more 미내사소식지 2023-05.pdf
주체가 없는 공간나와 대상 사이 비어있는 공간에
존재해보세요. 그러면 모든 논리의 모순이
드러나게 되고 나와 다른 사람의 논리로부터
자유로워집니다.- 초현 - · 권두언: 주체가 없는 공간 … - 초현 -· 무연 님과의 대담 '깨어있기'가 깨어있게 한다 48· 진심직설 38회-월인越因· 홀로스 공동체 소식· 월인의 깨어있기 유튜브 강의 안내· 강의·도서 구입 안내 오인회소식지 144호 2023-09.pdf
길道 - 오인회 소식지 143호
길道주인 있는 마차는
분주한 삶만 있지만 주인 없는 마차는
진정한 삶의 방향을 아는구나- 초현 - · 권두언: 길道 … - 초현 -· 무연 님과의 대담 '깨어있기'가 깨어있게 한다 47· 진심직설 37회-월인越因· 홀로스 공동체 소식· 월인의 깨어있기 유튜브 강의 안내· 강의·도서 구입 안내 오인회소식지 143호 2023-08.pdf
지금을 살 수 있다면 - 오인회 소식지 142호
지금을 살 수 있다면지금 이 순간(실상의 삶)을 누릴 수만 있다면 어느 날 슬로비디오처럼 지금 세상과 다름의 깨끗하고 선명한 아름다움이 내 앞에 다가와 미소 짓게 할 것입니다.- 초현 - · 권두언: 지금을 살 수 있다면 … - 초현 -· 무연 님과의 대담 '깨어있기'가 깨어있게 한다 46· 진심직설 36회-월인越因· 홀로스 공동체 소식· 월인의 깨어있기 유튜브 강의 안내· 강의·도서 구입 안내 오인회소식지 142호 2023-07.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