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2014년에 걸쳐 오인회에 참여하였던 무연 님과의 대담을 위주로 오인회에서 진행되는 작업을 소개합니다. 감지에서 감각, ‘나’라는 느낌에까지 이르러 점차 마음에서 일어나는 모든 것들을 하나의 ‘마음속 현상’으로 보는 과정을 세세히 담았습니다. 관심있게 봐주세요. 이 글을 정리해준 영채 님에게 감사드립니다. 무연 님은 ‘마음이란 무엇인가’를 탐구하면서, 생각이 어떤 과정으로 일어나는지 궁금했습니다. 우연히 《깨어있기》 책을 만나게 되었고, 책 속의 “우리가 보고 있는 것은 내 마음의 상”이라는 문구가 가슴에 와 닿았다 합니다. 그후 깨어있기 프로그램과 오인회 모임에 참가하면서, 내 마음의 상이 내면에서 언어로 나타난 것이 생각이고, 외부의 움직임으로 표출된 것이 행동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이것을 자각하는 것도 자신을 자유롭게 할 수 있는 길 중에 하나라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지금은 ‘깨어있기’란 단어가 사람을 깨어있게 만드는 힘이 있다는 것을 느끼면서 지내고 있습니다(편집자주).
월인 ‘아, 이해했어.’라고 하는 놈도 즉시 일어난 마음이라는 것이죠. 나타난 모습이에요. 마음에 의해 잡히는 모든 것은 다 ‘나타난 모습’이라는 것입니다. 나타나지 않으면 잡히지 않아요. 그런데 잡히지 않는 것이 두 가지 있죠. 하나는 주의가 거기 가지 않아서, 하나는 애초에 분열이 없기 때문에 잡을 수 없습니다. 주의가 거기 가지 않아서 잡히지 않는 것은 마음이 아직 명확하지 않아서 세밀하게 보지 못하는 거예요. 그런데 아예 마음의 분열이 없기 때문에 잡히지 않는 것은 마음이 무심으로 간 것인데, 그렇게 되면 무심이나 평화는 경험할지 몰라도 통찰은 아직 안 일어나는 것이죠. 무심에 있다 다시 나와 봐야 합니다. 마음이 일어날 때 ‘아, 일어난 나 자체가 하나의 나타남이네.’를 확인하라는 겁니다. 지금은 무엇이 일어나 있습니까? 뭐가 주인인가요?
무연 뭔가 이해하려고 끄덕거리고 있는 것이요.
월인 그 놈이 주인 노릇을 하고 있다는 것을 아시겠어요? 주인 노릇을 하는 놈은 주인처럼 느껴집니다. ‘나 같은’ 느낌이에요. 이제 많이 왔죠. 사물의 느낌에서 마음의 느낌까지 오고, 마음의 느낌에서 최종적인 느낌인 ‘나’라는 느낌, 그후 존재감까지 와서 그 놈도 일어난 느낌이라는 거고, 그 일어남 속에 그것을 지켜보는 놈이 항상 최종적으로 남아있고, 그 지켜보는 놈도 마음의 나타남이라는 것, 그 놈을 지켜보려고 하면 또 다른 지켜보는 나가 나타날 뿐이지 계속해서 반복된다는 것이고, 결국 무언가 본다는 것, 대상이 나타났다는 것은 지켜보는 놈이 나타나 있다는 증거이고, ‘대상을 통해’ 지켜보는 놈을 ‘일어난 놈’으로 파악하는 것, 이것이 통찰이에요. 다음 시간에는 뭘 해보실래요?....more